소규모 창업자나 소상공인이라면 이런 고민을 해본 적 있을 겁니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고 싶지만 디자이너를 고용할 여유도 없고 직접 만들자니 시간이 부족하다는 고민. Google Labs와 Google DeepMind가 함께 만든 새로운 도구가 나왔습니다. 오늘은 Pomelli를 살펴보겠습니다.
Posts
-
마케팅도 AI로 Pomelli 알아보기 2025-11-04 -
무분별, 저품질 논문과 싸우는 arXiv 2025-10-31지난 몇 년간 생성형 AI와 대규모 언어모델이 논문 작성 난이도를 크게 낮췄습니다. arXiv는 원래도 논문의 저품질 문제를 안고있었죠. 하지만 '빠른 논문'이 arXiv의 존재 이유인 만큼 좋은 논문을 찾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돌리는 것에 모두가 암묵적으로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한계인가봅니다. 새로운 연구 성과를 담지 않은 리뷰 논문들이 폭주하면서, arXiv는 결국 결정을 내렸습니다. 앞으로 CS 카테고리에 리뷰 논문과 포지션 페이퍼를 올리려면, 먼저 저널이나 학회에서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
Cursor 2.0과 Composer 2025-10-30커서 2.0이 발표되었습니다. 기대만큼 엄청난 변화는 아니지만 생각지 못한 변화네요. 자체 모델 발표와 에이전트 중심의 인터페이스 개편이 핵심입니다.
-
써야 해서 쓰는 코드 줄이기-Python Dataclasses 2025-10-26클래스를 만들었으면 멤버 변수에 파라미터를 대입하고, `__init__`, `__repr__`, `__eq__` 같은 특수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마치 Hello World를 프린트하기 위해 #include.. 로 시작하는 형식적인 코드를 줄줄 쓰듯이 말이죠. 이렇게 반복적이고 형식적인 클래스 정의 시 타입 힌트만 작성하면 반복적인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초보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문자 인코딩 2025-10-11인코딩은 컴퓨터가 문자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데이터 분석을 많이 해 본 사람이 아니라면 불러온 데이터가 깨지거나 아예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인코딩 방식을 잘 알아두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과 파일 형식에 따라 사용하는 인코딩 방식이 달라 신경쓰지 않으면 데이터와 멘탈이 와장창 깨질겁니다.
-
PDF 번역 혁신 2025-09-29여러분이 굉장히 놀랄만한 PDF 번역 도구입니다. PDF로 작업을 자주 하거나 저처럼 외국 자료를 볼 일이 많은 분께 강력 추천합니다. PDF의 복잡한 구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내부 코드도 뜯어보고 싶네요. Zotero와 연동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
-
색상 시스템의 발전 2025-09-22디지털 색상 시스템의 발전 과정을 RGB, CMYK부터 HSL, CIELAB, 그리고 산업 표준인 팬톤 컬러 시스템까지, 각 시스템의 장단점과 색상 표현의 한계를 설명하고 장치 독립적인 색상 표현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봅니다.
-
블로그 접속 오류 2025-09-19블로그 루트 URL 접속 오류 해결 과정을 기록한 글입니다. 다양한 원인을 추적한 끝에, 옵시디언 플러그인 버그로 생성된 보이지 않는 빈 마크다운 파일이 경로 문제를 일으켰음을 발견하고 해결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
아주 다양한 어텐션 매커니즘 2025-09-18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인 어텐션(Attention) 메커니즘의 다양한 종류를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기본적인 어텐션 함수부터 Self/Cross, Multi-Head, 그리고 효율성을 높인 Sparse/Linear 어텐션까지, 각 방식의 발전 과정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
LLM Tokenization 정리 2025-09-13LLM이 텍스트를 이해하는 첫 단계인 토큰화(Tokenization)의 다양한 방법을 정리합니다. 단어, 문자, 서브워드(BPE, WordPiece), SentencePiece 등 주요 토큰화 기법의 원리와 장단점을 비교하고, 모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
논문 요약은 Zotero MCP 2025-09-12논문 관리 도구 Zotero와 LLM을 연동하는 Zotero MCP 사용 후기입니다. 스미더리를 통한 연결 방법과 불안정한 연결 문제 해결을 위한 로컬 설치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논문 요약, 분류, 질의응답 등 연구 워크플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중국 생성형 AI 동향 리포트 2025-09-122025년 기준 중국 생성형 AI 기술 동향 리포트입니다. 텐센트, 알리바바, 딥시크 등 주요 12개 기업의 주력 모델과 제품을 분석하고, 오픈소스 전략, 가성비 경쟁 등 중국 AI 시장의 특징과 경쟁력을 조망합니다.
-
마크다운 사용법 2025-08-20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인 마크다운(Markdown)의 핵심 문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제목, 텍스트 스타일, 목록, 링크, 이미지, 코드 블록 등 자주 사용하는 문법을 예제와 함께 설명하여 누구나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GEMINI CLI 인증 실패 해결 2025-08-14macOS에서 Gemini CLI 로그인 시 'Precondition check failed'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공유합니다. 원인으로 GOOGLE_CLOUD_PROJECT 환경 변수 충돌을 지목하고, '고스트 변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unset 사용법 등 단계별 해결 방법을 안내합니다.
-
Anthropic 프롬프트 생성기 후기 2025-06-30Anthropic 콘솔에서 제공하는 프롬프트 생성기 사용 후기입니다. 프롬프트 작성의 접근성, 체계적인 평가 및 개선 과정의 장점을 설명하고, API 요금제와 연동되는 비용 구조에 대해 언급하며 전반적인 사용 경험을 공유합니다.
-
THE WAY OF CODE 2025-06-30도덕경에서 영감을 받아 코더와 창작자를 위해 쓰여진 '코드의 길(The Way of Code)'을 번역한 글입니다. 단순성, 비움, 균형, 리더십 등 동양 철학의 지혜를 코드와 기술의 은유를 통해 풀어내며 개발자의 길을 성찰합니다.
-
Mac OS, iPadOS 26 사용기 2025-06-21WWDC에서 공개된 macOS 26 및 iPadOS 26 베타 버전의 1주일 사용 후기입니다. 새로운 UI 디자인에 대한 감상과 함께, 특히 미리보기 앱 추가 등 미니 맥북처럼 변모한 아이패드의 유용한 기능과 베타 버전의 아쉬운 점을 공유합니다.
-
유클리드 호제법 2025-04-29두 수의 최대공약수(GCD)를 효율적으로 찾는 유클리드 호제법을 설명합니다. 알고리즘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를 활용해 최소공배수(LCM)를 구하는 방법까지 파이썬과 C언어 코드 예제와 함께 제공합니다.
-
Shell 비교 가이드 2025-04-29다양한 커맨드 라인 셸(Shell)인 Bash, Zsh, Fish, Ksh, Sh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는 가이드입니다. 각 셸의 주요 기능과 설정 파일, 스크립팅 문법 차이를 설명하고 사용 목적에 맞는 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옵시디언과 함께한 2년 2025-04-21지난 2년간 노트 앱 옵시디언을 사용하며 느낀 점을 기록한 에세이입니다. 노션 등 다른 앱과 비교하며 옵시디언의 유려한 디자인, 그래프 뷰, 마크다운 기반의 가벼운 글쓰기 경험 등 장점을 이야기하고, '세컨드 브레인'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
Neovim 사용기 2025-04-18VSCode를 대체하기 위해 Neovim을 사용해 본 경험을 공유합니다. Lazyvim을 거쳐 직접 최소한의 설정을 구성한 과정과 `init.lua` 파일을 공개하고, 가벼움이라는 장점과 마우스 조작 등 단점을 비교하며 느낀 점을 솔직하게 담았습니다.
-
OSI 7계층과 TCP IP 4계층 2025-04-05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모델인 OSI 7계층과 실제 구현에 사용되는 TCP/IP 4계층을 비교 설명합니다. 각 계층의 역할과 주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를 정리하여 복잡한 네트워크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판다스 기능 명단 2025-04-05Python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 Pandas(판다스)의 핵심 기능 요약 문서입니다. Series와 DataFrame 생성, loc, iloc, 불린 인덱싱 등 데이터 선택 및 수정을 위한 주요 기법들을 코드 예제와 함께 제공하여 빠른 참조를 돕습니다.
-
Google Colab에서 Kaggle 설정하기 2025-04-05데이터 사이언스 프로젝트 환경 구성을 위해 Google Colab에서 Kaggle API와 Git/Github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각 서비스의 계정 생성부터 Colab에서 Kaggle 데이터셋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API 연동 과정까지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
사이킷런 라이브러리 기능 명단 2025-04-05Python 머신러닝 라이브러리 Scikit-learn(사이킷런)의 핵심 기능을 정리한 치트시트입니다. 데이터 전처리, 모델링, 평가 등 머신러닝 워크플로 각 단계별 주요 모듈과 클래스를 코드로 제공하여 빠른 참조를 돕습니다.
-
머신러닝 체크리스트 2025-04-05머신러닝 프로젝트의 전체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입니다. 프로젝트 개요부터 데이터 탐색, 시각화, 모델링, 배포, 그리고 유지보수까지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주요 항목들을 정리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를 돕습니다.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범위 정리 2025-04-05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시험 핵심 요약 자료입니다. 전자계산기 일반, 패키지 활용, PC 운영체제, 정보 통신 일반 4과목의 주요 개념과 필수 암기 항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험생의 효율적인 학습을 돕습니다.
-
맷플롯립 기능 명단 2025-04-05Python의 대표적인 데이터 시각화 라이브러리인 Matplotlib(맷플롯립)의 핵심 기능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기본 그래프 생성부터 커스터마이징, 서브플롯, 고급 그래프, 스타일링 등 필수 사용법을 코드 예제와 함께 제공하여 원하는 차트를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
Kaggle API 사용법 2025-04-05Kaggle API의 설치 및 사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API 토큰 설정 방법부터 CLI 또는 Python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셋과 대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등 주요 기능을 예제와 함께 설명하여 Kaggle 환경 외부에서의 활용을 돕습니다.
-
넘파이 기능 명단 2025-04-05Python의 핵심 과학 계산 라이브러리인 NumPy(넘파이)의 주요 기능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배열 생성, 연산, 인덱싱, 변형, 통계 함수, 난수 생성 등 필수적인 NumPy 사용법을 코드 예제와 함께 제공하여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돕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