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요약은 Zotero MCP

🏷️ 정보

오랜만에 정말 마음에 드는 MCP를 찾았습니다. 바로 Zotero MCP입니다. 덕분에 논문 저장부터 요약, 분류, 질의응답까지 워크플로가 아주 깔끔해졌습니다. 저는 클로드 데스크탑에서 사용했는데 GPT도 이제는 MCP를 지원한다고 들었습니다. 써보진 않았네요. Zotero_1.png

아무데도 자세한 설치 방법이 없어서 헤메다가 포기했었습니다. 근데 어느날 클로드에 접속하니 연결이 되어있더라구요. 아마 그때 제대로 설치를 했었지만 연결에 걸리는 그 시간을 못참고 실패했다고 생각했나봅니다. 성격도 급하지.

스미더리

MCP는 보통 스미더리에서 연결하는게 제일 간편합니다. 스미더리에서 클로드 데스크탑 연결을 선택하고 API 키 등 값을 넣어주면 간편하게 연결됩니다.

Zotero_2.png Zotero_3.png

필요한 항목은 API 키, 라이브러리 아이디 정도입니다. 웹 Zotero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tero_4.png

Zotero 홈페이지에서 My Profile로 이동합니다. [Setting ➝ Security]에 들어가 스크롤을 내리면 Application 부분이 있는데요, 이곳에서 라이브러리 id를 확인하고 api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Zotero_5.png

논문 요약을 하다보면 DOI나 실험 환경같은 디테일한 정보에서 환각이 자주 발생했는데, 그런게 전혀 없습니다. 속이 뻥 뚫리네요. 최근에 블로그에 기고한 논문 리뷰 글을 작성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됐습니다.

로컬 설치

사용하다가 자꾸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아무래도 불안정한 MCP 서버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로컬 설치를 하기로 했습니다. Zotero MCP 공식 깃허브에서 로컬 설치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uv만 있으면 원숭이도 설치할 수 있겠습니다.

uv tool install "git+https://github.com/54yyyu/zotero-mcp.git"
uv run zotero-mcp setup  # Auto-configure (Claude Desktop supported)
{
  "mcpServers": {
    "zotero": {
      "command": "zotero-mcp",
      "env": {
        "ZOTERO_LOCAL": "true"
      }
    }
  }
}

이렇게 설정하고 클로드 데스크탑을 열어보면 새로운 Zotero mcp가 보입니다. 훨씬 안정적이고 잘 돌아가네요. 이렇게 불안정한 MCP는 로컬로 설치했을 때 만족도가 크게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