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다운 사용법
마크다운(Markdown) 문법 가이드
마크다운은 읽고 쓰기 쉬운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입니다. 이 문서는 주요 마크다운 문법을 정리하고 예시를 보여줍니다.
1. 제목 (Headers)
#의 개수로 제목의 수준을 표현합니다. #과 제목 텍스트 사이에는 공백이 필요합니다.
제목 1 (H1)
제목 2 (H2)
제목 3 (H3)
제목 4 (H4)
제목 5 (H5)
제목 6 (H6)
2. 텍스트 스타일 (Text Styles)
텍스트를 강조하거나 특정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굵게(Bold):
**텍스트**또는__텍스트__ - 기울임(Italic):
*텍스트*또는_텍스트_ - ~~취소선(Strikethrough)~~:
~~텍스트~~ - 굵고 기울임:
***텍스트*** 인라인 코드: `code` 와 같이 백틱으로 텍스트를 감쌉니다.
3. 목록 (Lists)
순서 없는 목록 (Unordered List)
*, -, + 중 하나를 사용하여 목록을 만듭니다. 들여쓰기를 통해 중첩 목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항목 1
-
항목 2
- 하위 항목 2-1
- 하위 항목 2-2
- 항목 3
순서 있는 목록 (Ordered List)
숫자와 점을 사용하여 목록을 만듭니다. 숫자는 자동으로 증가하므로 모두 1.로 입력해도 됩니다.
- 첫 번째 항목
- 두 번째 항목
- 세 번째 항목
4. 링크 (Links)
[표시될 텍스트](URL) 형식으로 링크를 삽입합니다.
5. 이미지 (Images)
링크 형식 앞에 !를 붙여 이미지를 삽입합니다. [이미지 설명]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텍스트(alt text)입니다.

6. 인용문 (Blockquotes)
>를 텍스트 앞에 붙여 인용문을 만듭니다.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인용문입니다.
이것은 중첩된 인용문입니다.
7. 코드 블록 (Code Blocks)
백틱 세 개(```)로 코드 블록을 감쌉니다. 첫 번째 백틱 옆에 언어 이름을 명시하면 구문 강조(Syntax Highlighting)가 적용됩니다.
def say_hello():
print("Hello, Markdown!")
say_hello()